Surprise Me!

[자막뉴스] 제주도에 이런 비밀이...지질 분야 '발칵' / YTN

2024-10-22 911 Dailymotion

뛰어난 경관과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성산일출봉. <br /> <br />바닷속에서 폭발하며 만들어진 수성화산으로, 그동안 1번의 마그마 분출로 만들어진 단성화산체로 알려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지난 2012년 한 논문을 통해 성산일출봉 주변 해저에 새로운 분화구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세계유산본부는 제주대학교 등 연구기관과 함께 연구에 나섰고, <br /> <br />정밀 해저지형 탐사를 통해 일출봉 중심에서 동남쪽으로 600m 떨어진 지점에서 분화구로 추정되는 지름 600m가량의 둥글고 평탄한 지형을 발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상 시추를 통해 암석의 종류와 연대 등을 확인한 결과, 해당 지형은 6,700년 전 만들어진 해저분화구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[윤우석 /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지질학 박사 : 특히 해저에 있는 응회암층에서는 뚜렷한 층리가 발견되기도 합니다. 그런 퇴적구조를 통해서 저희가 (화산재가 쌓인) 응회암층을 추정할 수 있었고. 해저지형 분석 결과 지금 현재 있는 성산일출봉 분화구의 지형과 거의 유사한 규모를 갖고 있다고….] <br /> <br />주변 해저분화구가 확인되면서 성산일출봉의 형성 과정도 새롭게 규명됐습니다. <br /> <br />약 6,700년 전 얕은 바다에서 두 번의 화산 활동으로 초기 화산체, 즉 해저분화구가 만들어졌고, 이후 마그마가 분출해 분화구 내부에 분석구와 용암연이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5천 년 전, 현재 성산일출봉 위치에서 또다시 마그마가 솟으면서 3개의 화산이 겹쳐졌고, 오랜 기간 파도에 깎이며 지금의 성산일출봉의 모습을 갖게 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성산일출봉이 세 차례의 화산 분출을 통해 만들어진 복합화산체라는 사실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겁니다. <br /> <br />[기진석 / 제주도세계유산본부 학예연구사 : 저희가 이번 연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해양지질학뿐만 아니라 암석학, 퇴적학, 지화학, 층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통해서 실제 해저분화구의 위치, 그리고 존재 여부를 확인한 데에 그 연구 성과가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오랫동안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성산일출봉의 형성 과정을 새롭게 규명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지질 분야 학술지인 '지질학회지' 9월호에 게재됐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술 조사를 통해 숨겨진 가치를 찾아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김경임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02213562381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